우당탕탕 개발일지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Part10 본문
문서 구조를 위한 HTML5 시맨틱 태그
<header> 태그
: 머리말 지정하기
주로 <form>태그를 사용해 검색 창을 넣거나 <nav>태그를 사용해 사이트 메뉴를 넣는다.
<nav> 태그
: 문서를 연결하는 내비게이션 링크
- 사이트 안의 문서나 다른 사이트의 문서로 연결하는 링크 모음을 나타낸다.
- <nav>태그는 내비게이션 메뉴뿐만 아니가 푸터에 있는 사이트 링크 모음 부분에도 많이 사용된다.
즉, 위치의 영향을 받지 않아 <header>, <footer> 또는 <aside> 안에 포함시킬 수도 있고 독립해 사용할 수도 있다.
* id 태그를 따로 지정해주면 스타일 시트에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. *
<section> 태그
: 주제별 콘텐츠 영역 나타내기
- 문맥 흐름 중에서 콘텐츠를 주제별로 묶을 때 사용한다. <hn> 제목 태그와 함께 사용되며 <section>태그 안에 <section>를 사용할 수 있다.
<article> 태그
: 콘텐츠 내용 넣기
- <section> 태그와 혼동하기 쉽지만 <article> 태그는 떼어내 독립적으로 배포하거나 재사용하더라도 완전히 하나의 콘텐츠가 된다면 <article> 태그를 쓰면 된다. <article> 태그 안에 <section> 태그를 넣을 수 있다.
<aside> 태그
: 본문 이외의 내용 표시하기
- 필수 요수가 아니므로 광고나 링크모음 등 문서 메인 내용에 영향을 미치지않는 내용들을 넣을 때 사용한다.
<iframe> 태그
: 외부 문서 삽입하기
<iframe src="삽입할 문서 주소" [속성="속성값"]> </iframe>
width | 인라인 프레임의 너비입니다. |
height | 인라인 프레임의 높이입니다. |
name | 인라인 프레임의 이름이다. |
src | 프레임에 표시할 문서 주소를 지정한다. |
seamless | 프레임의 테두리를 없앤다. 크롬과 사파리에서만 지원한다. |
<footer> 태그
: 제작 정보와 저작권 정보 표시하기
- 사이트 제작자의 연락처 정보와 저작권 정보 등 다른 레이아웃 태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.
<address> 태그
: 사이트 제작자 정보, 연락처 정보 나타내기
- 웹 페이지 제작자의 이름이나 제작자의 웹 페이지 또는 피드백을 위한 연락처 정보를 넣는데 사용된다.
<div> 태그는 언제 사용할까?
주로 콘텐츠를 묶어 시각적 효과를 적용할 때 사용한다.
'HTML & CSS > Do it! 시리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Part13 (0) | 2022.02.02 |
---|---|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Part12 (0) | 2022.01.31 |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CSS Part9 (0) | 2022.01.26 |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CSS Part8 (0) | 2022.01.26 |
[두잇 HTML5+CSS3 웹표준의 정석] CSS Part7 (0) | 2022.01.24 |